반응형

안녕하세요!
오늘은 맥북에서 오디오 인터페이스와 베이스를 연결해서 GarageBand로 연주하고 녹음하는 방법을 소개해보려고 합니다.

저처럼 베이스와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처음 연결하신 분들이라면,
소리가 나오긴 하는데, 적나라한 줄 튕기는 소리만 들려서 당황하신 경험이 있으실 거예요.

이건 정상입니다.
베이스 신호 자체에는 앰프 시뮬레이션이나 이펙터가 적용되지 않은 상태라서 그런 건데요,
GarageBand와 같은 **DAW(Digital Audio Workstation)**에서 가상 앰프를 적용하면 훨씬 더 원하는 소리에 가까운 사운드를 들을 수 있습니다.


🎵 GarageBand 설치하기

먼저 Mac App Store에서 GarageBand를 설치해주세요.
iOS/Mac 사용자라면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훌륭한 DAW입니다.

설치가 완료되면 바탕화면 또는 런치패드에 GarageBand 아이콘이 생깁니다.
아이콘을 클릭해 실행해주세요.


🎛 새 프로젝트 만들기

GarageBand를 열면 다음과 같은 초기 화면이 나옵니다.
여기서 **[새 프로젝트]**를 클릭해주세요.

그다음 나타나는 화면에서 [기타 또는 베이스] 트랙을 선택합니다.


🎚 입력 설정 확인하기

트랙을 생성하기 전에 아래쪽에서 몇 가지 설정을 확인해주세요.

  • 입력 채널: 오디오 인터페이스에 연결된 악기의 채널을 선택합니다. 예: Input 1
  • 모니터링: 연주 소리를 실시간으로 듣고 싶다면, *‘입력 모니터링’*을 체크합니다.

설정을 마쳤다면 **[생성]**을 클릭하여 트랙을 생성합니다.


🎸 앰프 설정하기

트랙이 생성되면 왼쪽에 라이브러리 탭이 표시됩니다.
여기서 아래로 내려보면 Electric Guitar and Bass 항목이 있습니다. 클릭해주세요.

오른쪽에 다양한 앰프 프리셋이 나타나는데요,
저는 그중에서 Clean Bass → 60’s Combo를 선택했습니다.

여기서 원하는 앰프 톤을 선택하셔도 좋고,
초보자라면 일단 기본 프리셋을 사용해도 충분히 괜찮습니다.


⚙️ 앰프 톤 커스터마이징

앰프를 선택하면 아래쪽에서 EQ, 게인, 톤, 프레젠스 등을 조절할 수 있는 설정 창이 열립니다.
저는 베린이라 기본값으로 사용 중이지만, 익숙해지면 이 부분도 원하는 톤으로 세팅해보세요.

 


⏱ 메트로놈 & 기타 팁

화면 상단 가운데에 있는 메트로놈 버튼을 눌러서 리듬을 잡으며 연주할 수도 있습니다.
초보 연습자라면 리듬감 익히기에 아주 유용해요.


❗️소리가 안 들릴 때 체크할 것

만약 앰프를 적용했음에도 소리가 나지 않는다면, 아래 항목을 확인해보세요:

  • 시스템 설정 > 사운드 > 입력/출력이 오디오 인터페이스로 설정되어 있는지
  • 오디오 인터페이스 자체 볼륨이 너무 작게 되어 있지 않은지
  • GarageBand 트랙에서 입력 채널과 모니터링이 제대로 설정되어 있는지

✅ 마무리하며

처음 베이스를 연결했을 때 단순한 줄 튕김 소리만 들려서 당황했지만,
GarageBand에서 가상 앰프만 적용해도 훨씬 풍부한 베이스 톤을 들을 수 있었습니다.

무료로 사용 가능한 DAW임에도 불구하고, GarageBand는 입문자에게 정말 좋은 툴인 것 같아요.
이제 본격적으로 연습하고, 간단한 녹음도 해보며 베이스 실력을 쌓아보겠습니다!

혹시 궁금한 점 있으시면 댓글로 남겨주세요 :)
다음엔 간단한 베이스 루프 만드는 법도 소개해볼게요!


+ Recent posts